- 회사의 변화가 확실할 때 -
투자 성공담도 한 번 적어 보겠습니다. 요즘에는 모르시는 분들이 없는 씨젠이란 회사로 얘기를 해 보겠습니다. 저는 씨젠을 2019년 가을에 21,000 원 수준에서 매입했습니다. 나중에 주가가 300,000 원을 넘겼으니 와~ 하시는 분들이 계실텐데 저는 씨젠으로 큰 수익을 올리지는 못했습니다.
씨젠 보다 더 많은 수익을 올린 회사도 많습니다만 씨젠으로 얘기를 드리는 것은 매수 당시 이 회사의 변화와 성장은 확실하다는 생각이 들었었기 때문에 오늘 예로 들어보는 겁니다. 당시는 코로나 사태 전이었습니다. 아래는 당시 제가 혼자 만들었었던 자료이며 이를 근거로 당시의 씨젠을 얘기해 보겠습니다.

당시 씨젠의 매출과 이익은 늘어나고 부채는 줄어드는 모습이 확실히 보입니다.
* 유전자를 이용한 정확한 질환 진단
질병 감염 여부 등을 판정할 목적으로 혈액, 뇨, 타액 등 인체에서 유래하는 검체로부터 분자생물학적 기술을 이용하여 감염물질(세균,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자(DNA) 를 검사하는 방법.
분자진단을 이용하면 암이나 신종플루를 비롯해 호흡기 질환, 성감염증 등을 싸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음.
씨젠은 DNA분자진단을 주력 사업으로 하는 기업임.
분자진단은 질병을 유발하는 유전자 변이가 나타나는 부분을 증폭하여 보는 방식의 체외진단임.
특히 체외진단 시장에서 분자진단은 질병의 원인을 직접적이면서도 가장 정확하게 찾아낼 수 있어 다른 체외 진단 방식 보다 훨씬 성장 속도가 빠를 것으로 예상됨.
* 주요 사업 : 분자진단 시약 개발
시약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약에 맞는 진단기기가 먼저 필요함. 씨젠의 진단기기가 특정 병원이나 의료 기관에 들어가면 씨젠의 진단기기에 맞는 씨젠의 진단시약을 써야만 함.
씨젠의 주요 관심사는 진단기기 판매가 아님. 이는 시약을 팔기 위해 진단기기를 먼저 판매하는 것이며 진단기기 제조는 씨젠측에서 하청을 주고 있음. 시약이 고부가가치 상품이며 지속적으로 매출을 반복 시켜 주는 것임.
-> 씨젠은 시약 개발 인력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비용구조를 보면 종업원 급여가 가장 큼. 이에 연구개발비가 주요 비용 항목임.

이 그래프가 핵심이었습니다. 씨젠이 영업으로 뚫어 내고 있는 병원이나 의료 기관 수는 가히 놀랄만 하게 증가하고 있었습니다.
당시 씨젠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60% 로 이미 확고한 위치에 있었습니다. 또한 씨젠의 유럽 매출은 씨젠 총 매출의 50% 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유럽 전체 시장에서의 점유율은 6% 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이에 유럽 시장에서 성장 잠재력이 상당히 컸었습니다.

보시다시피 선진국이 많은 유럽 쪽에 매출 비중이 높습니다. 기술력이 있다는 얘기이고 아직 유럽 전체 시장 점유율은 낮은 시기여서 많은 파이를 먹을 수 있었던 때였습니다.
* 씨젠의 주력 시약 상품 “ ALLPLEX ”
동시다중 정량 검사가 가능한 실시간 검사 제품으로 한 번의 검사로 수십 가지 병원균을 동시에 찾아내 감염 정도까지 파악할 수 있음. 유럽에서 2015년 먼저 출시되어 검증된 제품임.
ALLPLEX 는 현재 호흡기 9개, 소화기 7개, 성감염증 질환 8개, 결핵 4개, 순환기 3개, 약제내성 2개, 기타 4개 제품으로 총 37개 제품을 보유 중임. 2019년에는 총 15개의 신제품 출시가 예상됨.
출시 4년이 지나고 있는 ALLPLEX 의 거래처가 최근 2년 폭팔적인 증가 추세로 본격적인 확장 국면에 진입.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ALLPLEX 제품이 경쟁사 제품 보다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하나 더 얘기하자면 씨젠의 낮은 원가 구조입니다. 당시 매출액 상승에도 불구하고 인건비와 연구개발비가 크게 증가하지 않았고 연구개발비 외 비용이 크게 필요하지 않았습니다.
지금 와서 씨젠을 얘기하자면 코로나 사태를 얘기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주가가 15배 상승했던 요인이죠. 하지만 코로나 사태가 오지 않았어도 저는 씨젠의 주가는 10만원 가까이 상승했으리나 생각합니다. 회사가 폭팔적인 성장세를 시작하고 있었으니까요. 데이터가 그걸 보여주고 있었습니다. 회사 주담도 영업 확장세가 실제로 빠른 상태라고 얘기를 해 줬습니다.
저는 얼마에 매도했냐구요?
저는 코로나 사태가 이 정도로 심각해질 거라고는 생각하지 못했습니다. 안타깝네요...
댓글